@ 동산병원 심장이식 의진들이 말기 심부전 환자에게 좌심실 보조장치 이식술을 시행하고 있다. 사진 = 동산병원

계명대학교 동산병원(병원장 송광순)이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 첫 '좌심실 보조 장치(LVAD)'를 이식하는데 성공했다. 이로써 심장이식이 어려운 지역의 말기 심부전 환자에게도 치료의 새 활로가 열렸다.

동산병원 심장이식팀은 말기 심부전을 앓던 김 모(58)씨에게 10월 18일 오후, 인공심장인 좌심실 보조 장치를 이식하는데 성공했다.

환자는 2016년 급성 심근경색이 발병해 관상동맥우회술과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했으나 심장 기능은 점차 악화돼 약물 치료에도 호전이 없었고, 고농도의 강심제에 의존해야만 견딜 수 있는 상태였다.

또 간경화가 동반돼 심장이식의 어려움이 있었고, 좌심실 보조 장치의 이식이 유일한 치료 방법이었다.

하지만 고가의 치료비로 수술할 엄두를 내지 못했으나, 10월부터 좌심실 보조 장치 치료술의 건강보험 적용으로 이식을 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환자는 현재, 수술 후 5일 만에 중환자실에서 일반 병실로 옮길 만큼 순조롭게 건강을 회복하고 있다.

좌심실 보조 장치는 주로 말기 심부전 환자의 좌심실 기능을 기계적으로 대체하기 위해 사용하므로 '인공심장'이라고 불린다.

심장 대신 우리 몸에 혈액을 공급하는데, 심장끝부분에 이식한 펌프가 전기 신호를 받아 좌심실에 들어온 혈액을 빨아내어 대동맥으로 보내게 되면 온 몸으로 혈액이 공급된다.

이런 인공심장이식은 약물치료만 받았을 경우와 비교해 생존율이 높고, 보조 장치의 성능 향상과 수술 기술의 발전으로 2년 생존율이 80%에 육박하고 있다.

심장이식 대기자와 심장이식이 어려운 고령 및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는 희망이자 유일한 치료방법이 될 수 있다.

이식수술을 집도한 장우성·김재범 교수(흉부외과)는 "이번에 인공심장을 이식받은 환자의 경우, 심부전 외에 기저질환을 앓고 있었기 때문에 심장이식이 어려워 인공심장이식을 시행했다"며 "환자는 심장기능을 서서히 회복하고 있으며, 앞으로 일상생활을 하는데 큰 무리가 없을 정도의 긍정적인 수술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주치의인 김인철 교수(심장내과)는 "약물치료나 수술적 치료가 불가능한 말기 심부전 환자의 삶의 질은 상당히 낮다"며 “따라서 인공심장이식이 절실한 환자들이 많지만, 인공심장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낮고 무엇보다 상당한 치료비용 때문에 활발히 시행되지 못했다" ”하지만 좌심실 보조장치의 건강보험이 적용되면서 생사의 고비에 있던 말기 심부전 환자들에게 경제적 부담이 크게 줄어 치료의 활로가 열렸다.“고 말했다.

심장이식팀을 이끌고 있는 박남희 교수(흉부외과)와 김형섭교수(심장내과)는 “우리는 대구경북에서 첫 심장이식을 성공한 이후 현재까지 27례 시행해 지역 심상이식수술의 수준을 한 단계 높였다.”며 “이번 인공심장이식 성공이 다시 한번 지역 심부전 치료에 희망이 되는 좋은 계기가 될것으로 생각된다.”고 덧 붓였다.

저작권자 © 웹플러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